멸치젓갈은 오랜 시간 발효시켜 깊은 감칠맛을 내는
전통 저장식품이자 김장에 빠질 수 없는 재료입니다.
요즘은 시판 제품이 많아 손쉽게 구입할 수 있지만,
제철에 담가 제대로 숙성시킨 멸치젓은 맛과 향에서 차이가 납니다.
이번 글에서는 멸치젓 담그는 시기와 방법, 보관과 유통기한까지
꼼꼼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멸치젓 담그는 시기
멸치젓 담그는 가장 좋은 시기는 6월에서 7월 사이입니다.
이 시기에 잡히는 하절기 어린 멸치는 살이 연하고 수분이 많아
젓갈용으로 적합합니다.
일반적으로 6월 중순에서 7월 초순까지가 가장 선호되는 시기로,
이때 담근 젓갈은 김장철인 11월~12월에 맞춰 숙성이 완성되기 때문에
김치에 사용하기 좋습니다.
멸치젓은 다른 젓갈류보다 염도가 높은 편이므로
여름철 담금에도 부패 걱정이 적습니다.
멸치젓 담그는 법
- 멸치 준비
수확한 어린 생멸치는 깨끗한 바닷물이나 염수로 한 번 헹궈줍니다.
내장이 터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다루는 것이 좋습니다. - 소금 비율
보통 멸치:천일염 = 10:2.5 또는 10:3 비율로 섞습니다.
너무 짜면 숙성은 오래되지만 먹기 불편하고,
너무 싱거우면 발효 중 부패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비율이 중요합니다. - 담그기
깨끗한 항아리나 밀폐용기에 소금과 멸치를 층층이 번갈아가며 담습니다.
마지막 위에는 소금을 한 겹 덮듯이 뿌려주어 산화를 막습니다. - 숙성 장소
햇볕이 닿지 않고 통풍이 잘 되는 서늘한 곳에서
약 4개월에서 5개월 정도 숙성시킵니다. - 냉장 보관은 숙성을 늦출 수 있으므로 1차 숙성은 실온에서 진행하고,
숙성이 끝난 뒤에는 냉장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멸치젓 유통기한과 보관법
제대로 담근 멸치젓은 실온에서 5개월, 냉장 보관 시 최대 1년 이상 보관이 가능합니다.
단, 수저를 깨끗이 사용하지 않거나 공기 접촉이 잦으면
곰팡이나 이물질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개봉 전: 김치냉장고에서 보관 시 1년 이상 가능
- 개봉 후: 뚜껑을 꼭 닫고 1~2개월 내 사용 권장
- 변질 여부 확인법:
색이 너무 탁하거나, 악취가 나고 표면에 이물질이 생기면 폐기합니다.
용기는 유리 또는 스테인리스가 적합하며,
사용할 때는 항상 마른 숟가락을 사용하는 것이 위생에 좋습니다.
멸치젓 먹는방법
멸치젓은 김치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지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배추김치, 깍두기, 열무김치 등 김장 재료에 감칠맛 추가
- 국이나 찌개에 감칠맛을 더할 때 한 스푼
- 나물무침이나 볶음요리에 소량 사용하면 조미료 없이 깊은 맛
- 멸치젓 무침 자체로도 밑반찬으로 활용 가능
멸치젓은 짠맛 그 이상의 풍미와 깊이를 가진 전통 발효식품입니다.
정확한 시기와 방법만 안다면 집에서도 얼마든지 맛있는 젓갈을 만들 수 있습니다.
오래 보관할 수 있는 장점도 있지만
담그고 나서 숙성 과정과 위생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김장 시즌이 다가오기 전,
직접 담근 멸치젓 한 통으로 깊은 집밥의 맛을 준비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레시피 정보 더보기 ▼
배추요리 레시피 : 찜, 전, 나물, 샐러드, 겉절이 만드는법
찜, 전, 나물, 샐러드, 겉절이 만드는법 배추는 겨울철 대표 식재료이자 김장의 핵심 재료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하지만 김치 외에도 활용법이 다양하며, 가볍고 건강하게 즐길 수 있는 요리로
mukhanizm.tistory.com
조개젓 효능 : 무침, 젓갈 맛있게 무치는법
밥도둑이라 불리는 젓갈 중에서도 조개젓은 고소한 풍미와 쫄깃한 식감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소량만 곁들여도 밥맛을 살리는 조개젓은 단순한 밥반찬을 넘어 건강에도 다양한 도움을 줄 수
mukhanizm.tistory.com
멍게 효능 부작용, 손질하는법 및 비빔밥 만드는법
바다 향 가득한 멍게, 알고 먹으면 더 맛있다멍게, 바다의 천연 미네랄멍게는 특유의 바다 향과 쌉싸름한 맛으로 호불호가 갈리지만, 해산물 중에서도 영양소가 풍부한 식재료입니다. 특히 여름
mukhanizm.tistory.com
'레시피-보관법-칼로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지 요리 종류 : 손질법, 볶음, 연포탕 레시피 정리 (0) | 2025.05.19 |
---|---|
장어 효능, 장어덮밥 만들기 (1) | 2025.05.18 |
배추요리 레시피 : 찜, 전, 나물, 샐러드, 겉절이 만드는법 (0) | 2025.05.17 |
봄동 요리 겉절이, 무침 레시피, 파종시기 (0) | 2025.05.14 |
돌나물 효능, 먹는시기, 무침 요리 (0) | 2025.05.14 |